PINTOS (2) 썸네일형 리스트형 PROJECT 1 - Alarm Clock, Priority Scheduling 사실 2번 과제 초반까지는 아이패드에 필기를 하면서 공부를 했었다. 다시 정리하기 귀찮으니까 그냥 필기 파일을 업로드해놓겠다. Donation - Priority Scheduling 나는 donation 개념이 이해가 잘 안돼서 케이스를 하나씩 그림을 그려가며 공부했었다. 그리고 나서 코딩을 하면서도, 막히는 테스트 케이스를 하나씩 분석해서 해결했다. 그래서 사실 1번을 다 짠 시점에서 정리를 하자니 두서 없이 될 것 같아 프로젝트 1은 패스할까 한다. 1. donation 대충 테케 분석은 이런 식으로 무식하게 접근했다. 테케가 하나씩 통과해갈 때는 뿌듯했던 것 같은데 막상 다 하고 나니 조금 부끄러웠다. 공부하면서 혼자 궁금했던 것들 Q > 기존의 timer_sleep 함수가 ticks 정도의 시간이.. fork() 아래는 argument passing 코드를 짜기 전에 혼자 공부했던 내용이다. 이번 장에서는 fork()와 관련된 내용을 다룰 것이기 때문에 접어놓겠다. 더보기 더보기 argument passing까지는 아이패드로 공부했다. 필기를 그냥 올려놓겠다는 뜻. fork() GitBook에 있는 fork()를 참고하자. pid_t fork (const char *thread_name); 현재 프로세스의 복제본으로 새로운 프로세스를 생성.(해당 프로세스의 이름은 인자로 들어가는 THREAD_NAME). %RBX, %RSP, %RBP, %R12 - %R15(callee-saved register)를 제외한 나머지 레지스터값은 복제할 필요가 없다. 반드시 자식 프로세스의 process id를 반환해야 한다. 그렇지.. 이전 1 다음